'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71건

  1. 2013.05.16 [android] 새로운 android 개발환경 "android studio"
  2. 2013.05.15 [android] checkstyle 설치및 gen 폴더 제거 설정 1
  3. 2013.05.10 [android] maven 빌드시 @SuppressLint 오류 발생 해결하기
  4. 2013.05.10 [crontab] 특정 시간마다 실행하기
  5. 2013.05.06 [eclipse] working set 을 이용한 다수의 project 관리
  6. 2013.04.29 [android] TextView의 maxLines과 ellipsize 버그
  7. 2013.04.18 [android] FLAG_ACTIVITY_SINGLE_TOP으로 activity 실행시 intent 받아 처리하기
  8. 2013.04.15 [뉴스] iPhone6 컨셉 영상
  9. 2013.04.12 [오렌지라벨] 오렌지 라벨의 의미, 품종 1
  10. 2013.04.10 [android] TextView 코드로 생성하면서 style 적용하기

[android] 새로운 android 개발환경 "android studio"

android 2013. 5. 16. 15:5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NDK를 다운받기 위해 안드로이드 개발 page에 들어갔더니 “android studio” 라는 것이 생겼습니다. Studio 하니 예전의 visual studio가 생각이 나면서 연결되는 것은 .Netdesign studio 였습니다. ( Page의 화면도 그렇고 ) 뭔가 XML을 편하게 해주는 것인가..

 

그리고 내용을 보니 IntelliJ 기반의 새로운 android 개발 환경이라고 하네요. Intell-J 는 유료라서 써보고 싶기만 했던 것인데 ( 막연히 eclipse 보다 뭔가 더 좋겠지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툴이었고 blog 등을 보면 좋아하는 사람은 엄청 좋아하더라구요.. )

Android studio가 제공하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 gradle 기반의 빌드

* android에 특화된 refactoring과 빠른 오류 수정

* 성능, 사용성, 버전 호환성 등등의 오류를 알려주는 Lint tool

* ProGuard 지원과  App – signing

* 템플릿(Template)기반의 위저드 기능

* 강력해진 layout 편집기, 멀티화면의 미리보기등

 

아직은 early access preview 버전이므로 주의 하시요. ( 버전이 0.1 이므로 완성도가 당연히 떨어지리라 예상함 )

 

검색해보니 Google I/O 2013에서 발표한 것 같네요. 우연히도 빠르게 발견하게 되었네요 ㅎㅎ

아래는 android studio를 소개하는 간단한 영상 입니다.  

 

 

 

 

 

 

 

 

 

 

 



:

[android] checkstyle 설치및 gen 폴더 제거 설정

android 2013. 5. 15. 19:06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android에서 checkstyle을 적용하려고 설치하고 적용하다가 몇가지 유용한 것을 발견 하였다.

1. 설치하기

eclipse에서 Help->Install New Software.. 에서 아래를 설정하면 간략하게 local 환경에 설치할수 있다.

http://eclipse-cs.sf.net/update

 

2. checkstyle violations View

메뉴에서 “Window -> Show View -> Others -> checkstyle을 선택한뒤 “checkstyle violoations”를 클릭하면 보인다.  ( 참고로 checkstyle violation char 를 선택하면 차트로 볼 수도 있다. )

그런데 project가 많은경우 보기가 복잡하므로 내가 선택한 project의 위반사항만 보도록 설정한다.  아래 그림의 빨간 버튼을 누르면 환경설정창이 하나 뜬다.  

 

본인은  “on any resource in same project”를 선택하였다.

 

3. gen 폴더 제외 하기

Package explorer에서 원하는 project를 선택한 다음,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클릭해서

Checkstyle -> check code with checkstyle을 실행하면 checkstyle을 위반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gen 폴더에서 무수히 많은 violations이 발생한다.  android에서 생성하는 gen 폴더는 checkstyle 에서 제외시켜야 한다.

Project의 환경설정에서 “files from packages” check 하고 오늘쪽의  “change” 버튼을 눌러서 제외할 package를 선택하면 된다.

 

 

이 설정을 하고 나면 project 폴더에 .checkstyle 이라는 파일이 생긴다.

내용은 xml 이라서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fileset-config file-format-version="1.2.0" simple-config="true" sync-formatter="false">

  <fileset name="all" enabled="true" check-config-name="My Checks" local="false">

    <file-match-pattern match-pattern="." include-pattern="true"/>

  </fileset>

  <filter name="FilesFromPackage" enabled="true">

    <filter-data value="gen"/>

  </filter>

</fileset-config>

 

 

 



:

[android] maven 빌드시 @SuppressLint 오류 발생 해결하기

android 2013. 5. 10. 21:24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eclipse에서 android를 개발하다가 겪게 되는 것 중 하나는 노란색 경고줄이 가면서 마우수를 가져가면 아래처럼 이상한 해결 법이 뜨는 것이다.

 

@SuppressLint 를 추가하면 Lint 에서 해당 코드를 에러로 취급 하지 말라고 선언하는 것이므로, 노란 경고가 보기 싫어서 eclipse가 가이드 하는 대로 @SuppressLint("UseSparseArrays")을 적어줬더니 잘 해결되는 것 같았다.  (적어도 내 local 개발 환경에서는 )  그러나, 빌드 서버에서는 아래와 같은 에러를 뿜고 있군요 ㅠㅠ

 

[INFO]

[INFO] --- maven-compiler-plugin:2.3.2:compile (default-compile) @ android ---

[INFO] Compiling 76 source files to /… 생략… /workspace/target/classes

[INFO] -------------------------------------------------------------

[ERROR] COMPILATION ERROR :

[INFO] -------------------------------------------------------------

[ERROR] /… 생략 … /android/enums/SortType.java:[6,25] package android.annotation does not exist

[ERROR] /… 생략 … /android/enums/SortType.java:[23,2] cannot find symbol

 

빌드 서버에서는 maven을 이용하여 빌드하고 있는데, 위에서 추가한 어노테이션(annotation)을 인식하지 못하여 발생한 듯 합니다.

 

이럴때는 pom.xml에 아래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dependency>

    <groupId>com.google.android</groupId>

    <artifactId>annotations</artifactId>

    <version>4.1.1.4</version>

</dependency>

 

출처 : https://code.google.com/p/maven-android-plugin/issues/detail?id=287

 

위의  dependency를 추가하면 android에서 사용하는 각종 annotation 들을 maven으로 빌드시 인식하여 빌드가 잘 됩니다.

 

 

 



:

[crontab] 특정 시간마다 실행하기

개발 2013. 5. 10. 21:1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CI 서버를 설치하여 자동 실행 시간을 설정하는 중에 오래만에 설정하니 실수하게된다.

 

svn에 commit 한것을 5분 이내에 감지하여 자동 실행되게 하려고 아래처럼 하였다.

05 * * * *

그랬더니 매시 5분에 실행 되는 것이다. 아 이런 실수를 하다니..

아래처럼 해야 된다.

*/5 * * * *

 

참고로 매일 아침 8시 5분에 실행되게 하려면

05 08 * * *

 

5개의 숫자는 각각 "분 / 시간 / 날짜 / 달  / 년 " 의 의미를 같는다.

 



:

[eclipse] working set 을 이용한 다수의 project 관리

개발 2013. 5. 6. 14:32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Eclipse를 몇 년간 써오다가 늦게 알게된 기능 이지만 예전부터 잠재적으로 원했던 기능인 것 같다. 바로 project를 논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working set 이다. 기존에는 2depth 로 관리를 했었다.

workspace --- projectA

              --- ProjectB

              --- ProjectC

 

여기에 working set을 추가하면 아래처럼 3depth로 관리가 가능하다.

workspace --- working setA --- projectA

              --- ProjectB

              --- ProjectC

               --- working setB --- ProjectD

                                    --- ProjectE

                                    --- ProjectF

 

Project가 많아지면서 복잡해지던 package explorer working set으로 묶으니 간결해졌다.

예전의 Visual Studio solution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면 좋을 듯 하다.

 

추가하는 방법은 package explorer에서 top menu 버튼을 눌러서 "configure working set.. " 을 선택해서 working set을 추가할수 있고, 또는 "New -> java -> java working set" 을 선택해서도 할 수 있다.  working set을 구성한 뒤에는 "Top Level Element"를 클릭해서 project 에서 working set으로 변경해야 package explorer에서 working set이 표시가된다. 이것을 않해줘서 왜 안되나 했었다. ^^;.

working set을 추가한 뒤에는 해당 project를 drag&drop으로 working set에 넣으면 된다.

package explorer에서 working set을 만들고 project explorer에서 확인하니 보이지가 않는다. 음.. 각각 만들어아 되는 건가?

 

검색할 때도 (Ctrl + H) scope working set으로 하면 관련된 프로젝트에서만 검색할 수 있다.

 

 



:

[android] TextView의 maxLines과 ellipsize 버그

android 2013. 4. 29. 21:39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기본으로 제공하는 TextView을 이용해서 maxLines ellipse를 이용해서 2줄까지 표시하면서 더 긴경우에는 말줄임으로 하고 싶을때가 있다.  모두가 당연히 아래처럼 설정할 것이다.

 

<TextView

     android:id="@+id/textView1"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ndroid:maxLines="4"

     android:ellipsize="end"/>

 

maxLines 속성과 ellipsize 속성으로 4줄까지 표시되고 더 긴경우에는 말줄임이 표시되도록 의도한 것이다. Android 4.0에서 확인하면 잘 동작하는데 문제는 2.3이하에서 발생한다. 위처럼 하면 2줄까지 표시되고 말줄임이 되는 것이다.

구글링을 해보니 android의 버그라고 되어 있다.

( 참고 : http://code.google.com/p/android/issues/detail?id=2254 )

관련해서 여러가지 openSource로 해결책이 제시 되어 있다.

 

1. EllipsizingTextView

특징 :

* TextView StaticLayout을 이용하여 특정라인까지의 text를 자르고, 뒤에 을 붙이는 방식

* EllipsizeListener 를 이용하여 말줄임 여부를 체크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 draw시점에 text를 동적으로 구하는 방식으로 adapter 에서 사용할 경우 성능 이슈가 있을수 있다.

* 확대(expand) / 축소(collapse) 기능 없음.

소스 : https://github.com/KhalidElSayed/EllipsizingTextView

 

 

 

2. TextViewMultilineEllipse

특징

* View를 상속받아서 TextPaint로 각각의 라인을 자르는 방식

* 동적으로 구하는 시점은 onMeasure에서

* 확대 / 축소 기능 있음.

* 내부의 LineBreaker 소스는 참고하면 좋을 듯

* 버그 : space가 없는 문자열인 경우 crash 발생하지만 debugging 하면 금방 고칠수 있음.

* 단점 : View를 상속받아서 TextView의 기능들을 사용할 수 없음 ( , SpannableString )

소스 : http://code.google.com/p/android-textview-multiline-ellipse/source/browse/trunk/TextViewMultilineEllipse.java?r=2

 

결론은 1번의 EllipsizingTextView를 속도 최적화 하여서 사용함.

또다른 버그가 발견했습니다.

Android 4.0 이상에서는 iPhone에서 입력한 이모티콘을 표시해주는 기능이 있는데, 1번의 코드를 사용하면 해당 이모티콘이 안보입니다. TextView를 상속받고 거기서 setText를 하면 발생합니다. 해결책은 여기 참고 https://github.com/sharakova/EmojiTextView/tree/master/src/jp/sharakova/android/emoji

 

* OpenSource는 완벽한게 아니라 해당상황에 대한 간단한 해결책인 경우가 많다. 사용시 여러방면의 test가 필요하다. 그리고 필요하면 수정해서 사용하자.

 

 



:

[android] FLAG_ACTIVITY_SINGLE_TOP으로 activity 실행시 intent 받아 처리하기

android 2013. 4. 18. 10:2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startActivity를 호출하여 전달할 값을 putExtra()를 호출하여 intent에 설정하고, 호출된 Activity에서 getIntent()intent를 얻어 왔는데 이상하게 넘겨준값이 없다.  한참 고민하다가 발견한 것은 startActivity로 넘겨주는 intent  FLAG_ACTIVITY_SINGLE_TOP을 설정한 점이다.

 

Intent intent = new Intent(context, SomeActivity.class);

intent.addFlags(Intent.FLAG_ACTIVITY_CLEAR_TOP | Intent.FLAG_ACTIVITY_SINGLE_TOP);

            

intent.putExtra(PARAM_1, value1);

intent.putExtra(PARAM_2, value1);

intent.putExtra(PARAM_3, value1);

 

            

context.startActivity(intent);

 

FLAG_ACTIVITY_SINGLE_TOP Activity를 재사용 하기 위해서 설정한것이고 필요없는 Activity를 재거하기 위해서 FLAG_ACTIVITY_CLEAR_TOP 을 같이 조합하였다.

 

이런경우 SomeActivity에서는 onNewIntent() override 해서 intent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 setIntent()를 호출해서 다음에 ( onResume 같은데서 ) getIntentintent를 다시 참조해야 할 경우를 위해서 대비하는 것이 좋다.

 

@Override

protected void onNewIntent(Intent intent) {

       super.onNewIntent(intent);

 

       if (null != intent) {

             int defaultValue = 0;

              index = intent.getIntExtra(PARAM_1, defaultValue);

            

             setIntent(intent); 

}

}

 

호출되는 순서는 onCreate() 대신에 onNewIntent()가 호출되고 다음으로 onResume() 이 호출된다 

처음 startActivity 호출시

1.     onCreate

2.     onStart

3.     onResume

해당 Activity가 실행된 상태에서  flas를 추가하고 다시 startActivity 호출시

1.     onNewIntent

2.     onResume

 

 

 

 



:

[뉴스] iPhone6 컨셉 영상

IT활용 2013. 4. 15. 13:2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디자이너 "랜 아브니(Ran Avni)"는 youtube에 아이폰6 컨셉 영상을 올렸습니다.  ( 2013-04 )

 

 

 

[특징]

화면 크기가 기존 4인치에서 4.5 인치로 커짐.

본체 두께는 조금더 얆아짐.

전면의 홈버튼이 없어져서 화면이 더 커졌으나, 1줄에 표시되는 앱아이콘은 그대로 4개임

뒷몇이 투톤(상단의 무광택 검정생과 하단의 광택나는 검정색)으로 구성됨.

 

주의 : 단지 컨셉영상일뿐이므로 상당수 변화가 예상됩니다.



:

[오렌지라벨] 오렌지 라벨의 의미, 품종

사회&문화 2013. 4. 12. 14:0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4월이 되자 마트에 또 오렌지가 나오기 시작했다. 지금이 오렌지의 철이라고 합니다.
매년 요맘때면 오렌지를 마트에서 사먹었는데, 항상 4012 숫자가 붙은 라벨이 붙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난주에 백화점에 갔다가 블랙라벨 오렌지라면서 팔더라구요. 시식을 해보니 더 맛있었습니다.
역시 백화점에서 파는 물건이 더 좋구나( 물론 가격도 더 비싸죠~ )

그래서 오렌지의 라벨에는 숫자와 색깔이있는데 무척이나 궁금했습니다. 인터넷을 찾아봐더 여러가지 설들이 있는데, 이것저것 조사해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오렌지 품종

발렌시아 오렌지
오렌지의 원산지인 인도에서 15세기 포르투갈로 전파된 것이 발렌시아 오렌지가 되었다. 명칭은 스페인 사람들이 자국의 발렌시아 지방에서 나는 것과 비슷하다고 말한 데서 유래되었다. 오렌지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으로, 보통 오렌지라고 하면 이 오렌지를 가리킨다. 2월부터 11월까지가 제철로, 이 시기에 생산된 것은 당도가 높고 즙이 풍부하며 씨도 적다. 완전히 익은 것은 황금색을 띠는데, 따지 않고 그대로 두면 따뜻한 지표 온도와 엽록소의 작용으로 인해 줄기에 매달린 부분부터 다시 표피만 녹색으로 변한다. 이를 재초록화 현상이라고 하는데, 당도나 과즙의 맛 등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네이블 오렌지
네이블은 '배꼽'이라는 뜻으로, 꼭지 아래쪽이 배꼽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오렌지는 원산지인 인도에서 포르투갈로 전파된 것이 발렌시아 오렌지가 되었고, 브라질로 전파된 것은 다시 미국으로 퍼져 네이블 오렌지가 되었다. 19세기 초에 브라질의 오렌지 나무에서 돌연변이체가 나타나 씨 없는 오렌지가 열렸는데, 오늘날의 네이블 오렌지는 모두 이 돌연변이체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한다.

 

2. 라벨의 숫자는 멀까요~
라벨의 숫자는 PLU(Price-Look up) 코드입니다.
오렌지가 과일이다 보니 가격을 정하기 쉽게 품종이나 크기에 따라서 구분해 놓은 것입니다.
PLU는 미국에서 생활할 때 알아두면 좋은 정보더라구요. 

 


마트에서 많이 사먹던 4012 는 크기가 큰 오렌지였네요.  이번에 백화점에서 산 3107은 중간 크기의 오렌지였구요.
우리가 많이 먹는 네이블 오렌지는 4012(큰거), 3107(중간), 4013(작은거)로 구분이 되고 발렌시아 오렌지는 3108(중간거), 4014(작은거)로 구분이 된다.  이제 번호를 보면 어떤 품종의 어떤크기인지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라벨의 색깔은 멀까요~ 
 의미는 유통자/수출회사(distributor)별로 구분하는 상표 등급입니다. 예를 들어서 블랙라벨이라고 하면 좋다고 하는데, 블랙라벨도 다 같은게 아니라 어느회사의 블랙라벨인가를 알아야 합니다. 오렌지 회사의 브렌드는 썬키스트, 델몬트, 퓨어스팩등이 우리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요즘에는 류어스팩이 고급 브랜드로 뜨고 있는데, 퓨어스팩의 경우 블랙라벨과 흰색라벨이 있습니다. 블랙라벨이 더 비싸고 맛도 더 좋습니다.

4. 맛있는 오렌지를 고르는 방법
같은 크기면 무게가 무거운게 좋다.
표면이 매끄러운게 좋다.
껍질이 얇은게 맛있다. 
배꼽은 크게 상관 없는듯.

위와 같은 일반적인 방법들이 있는데, 하나씩 고르기도 힘들고 그냥 비싼거 사먹으면 대부분 맛있다.


 



:

[android] TextView 코드로 생성하면서 style 적용하기

android 2013. 4. 10. 17:1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TextView에 글자크기나 글자색깔등의 속성을 묶어서 style로 만들어 놓고 쓰면 편리하다.

아래는 글자크기를 22sp, 색상은 white로 그리고 그림자효과(shadow)를 묶어서 style로 만들었다.

 

<style name="myTitleText">

        <item name="android:textSize">22sp</item>

        <item name="android:textColor">#ffffff</item>

        <item name="android:shadowColor">#4e000000</item>

        <item name="android:shadowDy">2</item>

        <item name="android:shadowRadius">1</item>

        <item name="android:gravity">center_vertical</item>

</style>

 

Xml 파일에서 간단하게 style을 설정하면 된다.

<Textview

       android:id="@+id/my_text"

       style="@style/myTitleText"

       android:layout_width="wrap_cont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

 

그런데 TextViewXML에 선언하지 않고 코드에서 생성해서 style을 적용하려니 잘 안된다. 처음에는 그냥 직접 속성들을 적용하였다.

 

textView.setTextSize(22);

textView.setTextColor(0xffffffff);

textView.setShadowLayer(1, 0, 2, 0x4e000000);

textView.setGravity(Gravity.CENTER_VERTICAL);

 

그러나 뭔가 개운치가 않다. style로 묶은 것은 해당 style을 재사용 하기 위한것인데, XML에 정의해서 다른곳에서 사용하는 부분과, 코드에서 직접 적용한 부분으로 2중으로 정의되어 있으면 향후 style이 변경되었을 때 두군데를 다고쳐야 한다. 유지 보수시에 실수하기 좋은 방식이므로 코드에서 XML에서 정의한 style을 불러다 쓰고 싶었다. 이것저것 찾아보다 TextView에서 setTextAppearance 라는 메소드를 제공한다. 이것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적용 가능하다

 

textView = new TextView(getContext());

LayoutParams textParam;

textParam = new LayoutParams(30, 30); // 임의의 크기로 param 생성

textParam.width = LayoutParams.WRAP_CONTENT;

textParam.height = LayoutParams.MATCH_PARENT;

textParam.setMargins(getPaddingLeft(), getPaddingTop(), getPaddingRight(), getPaddingBottom());

                    

addView(textView, textParam);

textView.setTextAppearance(context, R.style.myTitleText);

 

주로 XML을 이용해서 UI 구성을 하다가 가끔 코드로 하려면 익숙지가 않다. 하지만 android도 내부적으로 어차피 XML을 읽어서 적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각의 XML에 매핑되는 함수들이 반드시 존재한다. 다만 가끔씩 직관적이지 않은 것들이 있을 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