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71건

  1. 2008.09.23 CVT1100 : 리소스가 중복되었습니다
  2. 2008.08.29 테레비 - 동영상으로 수익창출 1
  3. 2008.05.31 냥꾼 템 마추기 1
  4. 2008.03.12 무료 마인드맵(Mind Map) - Freemind
  5. 2008.03.05 블로그 가치평가 – 블로그얌
  6. 2008.03.04 Internet Explorer Reset 인터넷 익스플로어 초기화 1
  7. 2008.03.03 VisualStudio 도움말에(Document Explorer) 항목 추가하기
  8. 2008.02.04 MFC Update Powered By BCGSoft
  9. 2008.01.30 InstDrv - 드라이버 로딩 도구 6
  10. 2008.01.09 FireFox에서 않나오던 문제 수정 1

CVT1100 : 리소스가 중복되었습니다

개발 2008. 9. 23. 18:1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VS2003 버전으로 작성된 프로젝트를 VS2005로 변환을 하였다.
몇가지 에러가 발생하면서.. 수정을 하고 있느데.. 아래와 같은 신기한 오류가 발생하였다.

CVTRES : fatal error CVT1100: 리소스가 중복되었습니다. 형식:MANIFEST, 이름:1, 언어:0x0409
LINK : fatal error LNK1123: COFF로 변환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파일이 잘못되었거나 손상되었습니다.

난생 처음 보는 오류~
오류 내용을 보면 리소스가 중복되었단다.. 그러나 프로젝트에 특별히 추가한 리소스는 없는 상태였고,
혹시나 하는 생각에 resource.h를 열어 보았다.  역시나 중복되는 것은 없네~

검색을 좀 해보니.. 역시나 비슷한 경우가 있는데, 딱히 해결책은 별로 없다..
무슨 manifest 파일을 지우라는 소리에 지웠다가.. manifest 파일이 없다는 소리만 나오고..

그러다 오류 메세지를 잘 보니.. 중복된게 manifest 파일인거 같다..
음.. rc 파일을 직접 열어서 살펴보니.. 역시나..

41번째 줄쯤에 한번 정의 되어 있고..

3 TEXTINCLUDE
BEGIN
    "CREATEPROCESS_MANIFEST_RESOURCE_ID RT_MANIFEST ""res\\\\MiniCalendar.exe.manifest""\r\n"
    "\0"
END


끝부분에 또 정의가 되어 있다 ㅋㅋ

CREATEPROCESS_MANIFEST_RESOURCE_ID RT_MANIFEST "res\\MiniCalendar.exe.manifest"

느낌상 마지막에 정의된 것을 주석처리 했다.. (아마도 2003에서 2005로 변환중에 발생하는 오류가 아닌가 싶다~ )
그러니 빌드 성공~ ^^



:

테레비 - 동영상으로 수익창출

IT활용 2008. 8. 29. 15:3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올해 초에 Silverlight를 가지고 데모 프로젝트를 하였습니다.
동영상을 제생하면서, 그 위에 레이어를 올려서 동영상 위에 관련 정보를 출력해주는 프로젝트 였습니다.

아는 지인이 다니는 회사에서 기술적으로 조금 비슷한 개념의 서비스 하고 있어서 소개합니다.

http://www.terebe.com

여기에 동영상의 소스는 유튜브나 Daum 등에서 가지고 오고, 그위에 기타 정보를 레이어링 해서 보여주는 방식입니다. 동영상 재생중에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겠고,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는 아이디어 입니다.
flash 기술을 이용해서 레이어 처리를 하였는데, Silverlight 로 했던것과 조금 유사하여서 관심이 같습니다.
지금은 beta 기간이라서 초대장을 나줘주고 있는것 같습니다.

Daum에서 동영상을 이용해서 수익 창출을 못하고(?) 있는데, 이런 아이디어를 통해서 수익을 창출 할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나중에 Daum에서 정책을 변경해도,  동영상 소스는 Daum 말고도 유튜브에도 많으니까요 ^^

LGT 풀브라우징 인터넷 서비스 오즈(Oz)에서 동영상을 쉽고 빠르게 재생하기 위한 사이트도 있습니다.
http://oz.terebe.com

그리고 블로그를 통해서 여러가지 정보를 알려주고 있는데, 아직 많은 정보는 없내요 ^^
http://blog.terebe.com



:

냥꾼 템 마추기

Private 2008. 5. 31. 00:49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일단 석궁을 제일먼저 맞추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상위 파밍을 노리신다면
머리 T5(세나리온 마부)
목 태양샘확고 or 켈타퀘 목걸이
어께 T5(알도르 or 점술 마부)
망토 탈라망토 or 휘장 2시즌(민+12)
가슴 휘장 3시즌(모능+6)
손목 휘장 2시즌 가죽(전투력+24)
장갑 휘장 3시즌(민첩+15)
허리 검은 독수리
바지 휘장 3시즌(황천코브라킷)
신발 바쉬장화 or 솔라장화(민첩+12)
반지1 휘장 3시즌
반지1 줄아만 3공물
장신구1 광전사의 부름
장신구2 용의 뼈 전리품(피의 욕망 브로치)
근접 지옥돌기(민+35), 투기장 3시즌
원거리 휘장 3시즌(안정된 이터늄 조준경)
 
파밍순서는 차이가 있겠지만
휘장템 순서라면 바지 손 가슴 반지 정도 되겠네요

-----  무두질 정보  ---------------

바람비늘 나오는곳
1. 칼날산맥의 칼날마루와 칼날협곡의 비늘날개 천둥매, 악에 물든 비늘날개 천둥매 를 무두질
2. 황천의 폭풍 소용돌이지대에서 칼날발톱 천둥매를 무두질
3. 어둠달골짜기의 해그늘 주둔지의 해그늘용매를 무두질하면 20%의 확율로 나옴.



:

무료 마인드맵(Mind Map) - Freemind

IT활용 2008. 3. 12. 18:5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제목 : 무료 마인드맵(Mind map)
날짜 : 2008-03-12
저자 : hanburn

마인드맵은 mind + map 으로 마음속에 지도를 그리듯이 줄거리를 이해하며 정리하는 방법입니다 EBS등에서도 마인드맵 강좌를 하는등 요즘에는 초등학교에서도 학습의 보조 방법으로 활용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관련 서적도 많이 나와 있구요..

마인드맵을 컴퓨터에서 작성할 때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유로로는 씽크와이즈 (http://www.thinkwise.co.kr) 등이 있구요, mind Manger 라는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이런 도구를 이용하면 쉽게 마인드 맵을 작성할수 있는데요.. 돈주고 사기 싫으신 분들을 위한 무료도구를 소개합니다.

FreeMind 라는 프로그램인데 java로 만들어진 무료프로그램 입니다. 자바로 만들어서 실행시에 Java Runtime Engine이 설치가 되어 있어야지 실행이 됩니다.

아래에서 자신에게 맞는 버전을 선택해서 다운받는다. 윈도우 환경이면 MS Window Installer Max 버전을 받으면 된다.
다운받는곳 : http://freemind.sourceforge.net/wiki/index.php/Download

자바가 설치안되어 있다면, http://java.com/ko/download/index.jsp 여기서 다운받아서 설치를 한다. 한글로 되어 있어서 편리하다.

Freemind를 설치한 다음에.. Tool->Preference 를 선택하면 아래처럼 언어를 설정할수 창이 나온다.


언어를 kr 로 변경하면 프로그램을 재시작하면 메뉴등이 한글로 나온다. 무료인데 참 좋다. ㅋㅋ
추가로 폰트를 '맑은고딕'으로 하면 화면이 더 깔끔해보인다.





:

블로그 가치평가 – 블로그얌

IT활용 2008. 3. 5. 10:45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제목 : 블로그 가치평가 블로그얌

날짜 : 2008-03-05

저자 : hanburn

 

 

블로그란 웹(web) + 로그(log)의 줄임말로, 세상에 나온것은 1997년이므로 벌써 1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블로그 관련해서 여러가지 재미있는 것들도 덩달아 많이 생겼는데요, 사람들이 가장 관심을 갔는 것 중에서 한가지는 수익창출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구글의 애드센스와 몇 년전에 나온 다음의 애드클릭 등의 방법으로 블로그에 광로를 삽입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tistory 라는 블로그 밴더가 점점 성장하게 된 요인중에 하나는 블로그의 형식을 사용자가 마음대로 수정 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입니다. 대형 포털(네이버,다음,야후등등)에서는 제공되는 범위 내에서 스킨의 변형정도만 가능하였고 또한 제공되는 기능만 사용할수 있었지만, 태터툴즈 기반의 티스토리는 기능추가와 화면구성등에서 유현함을 제공하였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요즘처럼 블로그가 많은 인터넷에서 블로그의 가치를 평가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곳이 생겼습니다. 블로그의 가치평가 방법은 정확하게 공개가 되어 있지 않아서 신빙성(?)이 어느정도 판단할수 없지만, 그래도 재미삼아 해볼만은 합니다. 또한 앞으로 가치평가 기준 등을 몇가지 공개하고서 공식적인 평가자로 인정을 받게 된다면 이 서비스는 충분한 잠재가치를 가지고 있는 서비스라고 생각됩니다. 지금은 아이디어가 재미있어서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것 같구요..

 

아래는 제 블로그를 평가 받은 결과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블로그 가치는 브랜드지수+미디어지수를 통해서 커머스 지수로 표현이 되는데 쉬운말로 블로그의 가격입니다. 현재 22만원 정도의 가치가 있다고 하네요 ㅋㅋ

 

여러분들도 블로그 가치를 평가 받아 보시고, 가치가 얼마인지 나누어 보아요 ^^

블로그얌 : http://www.blogyam.co.kr/

 



:

Internet Explorer Reset 인터넷 익스플로어 초기화

IT활용 2008. 3. 4. 11:3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제목 : Internet Explorer Reset

저자 : hanburn

날짜 : 2008-03-04

 

 

요즘 인터넷이 않되면 컴퓨터를 이용해서 할게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그만큼 인터넷이 익숙해져 있고, 컴퓨터는 인터넷을 위한 연결점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인터넷이 않되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은 점점 줄어드는 것 같습니다. ㅋㅋ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80% 이상이 IE(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사용자가 많은 만큼 문제점도 많이 있습니다. 각종 Add-In BHO(Brower Helper Object)를 이용한 악성코드들..  그래서 IE에는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이 붙어서 실행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IE를 처음 설치한 상태로 초기화 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버전별로 다음의 방법대로 실행을 하면 됩니다.

 

6.0 버전

1. 실행중인 모든 Internet Explorer를 종료합니다.

2. ‘시작 -> 제어판 -> 인터넷 옵션을 순서대로 선택합니다.

3. ‘프로그램탭을 선택합니다.

4. ‘고급탭을 선택하고 적용버튼을 누르고 컴퓨터를 다시시작합니다.

 

7.0 버전

1. 실행중인 모든 Internet Explorer를 종료합니다.

2. ‘시작 -> 제어판 -> 인터넷 옵션을 순서대로 선택합니다.

3. ‘고급탭을 선택하고, ‘원래대로버튼을 누릅니다.

4. ‘적용을 선택하고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이해를 돕기위해서 아래는 7.0 의 스샷을 첨부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터넷 사용중에 컴퓨터가 이상해지거나, IE가 종료되거나 그럴 때 한번씩 IE를 초기화 시켜주시면 그런 증상들이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IE를 초기화 시켜주고서 컴퓨터가 정상으로 되었다면, 컴퓨터의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이상한(?)곳을 서핑해서 악성코드에 감염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ㅋㅋ

 

추가로 프로그램탭에서 추가기능관리버튼을 누르면 현재 IE Add-in되어 있는 모듈등을 볼 수가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를 살펴보면 너무 많은 ActiveX 들이 설치되어 있고, 뭐가 뭔지 잘 모릅니다. 그래서 잘 모르는 분들은 그냥 IEReset 하시고, 관심이 있게 살펴 보실분들은 이곳을 참조해서 하니씩 지워나가세요.. ^^

 





:

VisualStudio 도움말에(Document Explorer) 항목 추가하기

개발 2008. 3. 3. 18:39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제목 : VisualStudio 도움말에(Document Explorer) 항목 추가하기

날짜 : 2008-03-02

저자 : hanburn

윈도우 기반에서 개발을 하는 필자는 IDE환경으로 V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잘 정리된 Documentation MSDN을 자주 보게 되는데요, 오늘 유용한 기능을 하나 발견 하였습니다. 제목은 ‘VisualStudio 도움말에 항목 추가하기라고 붙였는데, 도움말 프로그램을 보면 전체의 목록을 보여주는 Contetns탭과 함수나 클래스를 알파벳 순서로 정리하여 놓은 index탭이 있습니다. 보통 index 탭에서 해당 함수의 파라미터 정보와 remark 등의 정보를 참고하느라고 많이 사용하게 되구요 여기서 검색한 내용을 툴바에서 ‘Sync with Table of Content’ 등의 기능을 사용하여 관련 항목으로 이동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많이 검색하게 됩니다. 아래는 제 컴퓨터의 Contents 항목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 살펴볼 것은 바로 이 contents 탭에 도우말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실버라이트 SDK를 설치하게 되면 도움말 파일이 설치가 되는데, 이 도움말들이 chm 형식이 아니어서 따로 볼 방법이 없습니다. 이 도움말들은 hxs 확장자의 형식으로 VS-Document Explorer를 통해서 볼수가 있습니다. 추가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Open Visual Studio (you might have to open VS as an administrator).

2. In the Help menu, choose Index. Microsoft Document Explorer displays.

3. In the Filtered by: drop-down, choose to (unfiltered).

4. In the Look for field, type Collection Manager.

5. Below the Collection Manager heading, double click Help.

6. Below the Collections available for inclusion in VSCC heading, check Microsoft Silverlight 1.1 SDK Documentation.

7. Click Update VSCC.

 

그런데 제가 가진 버전은 한글 버전이라서 그런지 ‘Collection Manager’ 라는 항목이 없습니다. 그래서 집합 관리자로 해보니 없더군요.. ㅋㅋ 짧은 영어로 고민하다가 도움말이니 도움말로 검색을 해보았더니 있더군요.. Collection을 도움말로 유추를 하다니.. 제가 생각해도 대견합니다.

 

도움말 -> 전체 도움말 컬렉션 관리자라는 페이지의 모습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에서 필요한 항목들을 check 해주게 되면 Document Explorer 에서 해당 도메인의 도움말을 볼수가 있게 됩니다. VSCC 업데이트를 눌러주고, 도움말과 VS2008을 다시 실행시켜 주면.. 'Help Update in progress' 라는 창이 뜨면서 도움말 항목을 업데이트 시켜 줍니다. 몇분 걸리더군요 ㅋㅋ



:

MFC Update Powered By BCGSoft

개발 2008. 2. 4. 11:24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날짜 : 2008-02-04

저자 : hanburn

 

 

작년 여러 블로그를 통해서 VS-2008에 포함되는 MFC가 대폭 향상된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얼마전에 2008 Beta 버전을 설치하였는데, 베터버전이라서 그런지 아직 MFC Update는 반영이 않되어 있었습니다. 대신 아래와 같은 내용을 볼수 있습니다.

 

http://msdn2.microsoft.com/ko-kr/visualc/bb892882(en-us).aspx

 

MFC Update Powered By BCGSoft

Earlier this year, the Visual C++ team announced that we would focus more squarely on native code development. One of the areas highlighted in that message was renewed investment in native libraries. We’re pleased, then, to announce that we’ve taken the first step in delivering on this strategy.

As an update to Visual Studio 2008, we will deliver a significantly enhanced version of MFC. Using this new library, developers will be able to create applications with the “look and feel” of Microsoft’s Office, Internet Explorer and Visual Studio.  Some of the specific features include Office 2007 Ribbon Bar support, Office-style menus, Visual Studio-style docking and autohide windows, Internet Explorer rebars and much more.

In order to offer such a major update, the Visual C++ team decided to partner with BCGSoft, a leader in professional user interface components for MFC and .NET. After a thorough evaluation we found that BCGSoft had the features, performance, and quality the team was looking for. By building on top of BCGSoft’s BCGControlBar Library Professional Edition, the Visual C++ team has a solid foundation upon which to drive innovation into MFC moving forward.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working with BCGSoft was that their architecture made it easy to integrate into the existing MFC library. During the integration process, senior developers from BCGSoft worked on site with the Visual C++ team to ensure the updated library met the needs of long time MFC users. All the new features have been consolidated into a release that “feels” perfectly natural to MFC developers. Even more important is the ability to quickly take existing MFC code and updated it with new features, such as the Office 2007 Ribbon Bar.

Developers looking for still more powerful MFC components should take a look at the BCGSoft product line. The BCGControlBar Library Professional Edition, for example, contains sophisticated calendar and day planner controls, a grid control, a report control, and an advanced edit control complete with syntax highlighting and IntelliSense-like functionality. BCGSoft has been working closely with the Visual C++ development team to ensure all their products have high compatibility with the update.

The MFC update will be released in Q1CY08. A beta will be available sometime near the beginning of the new year. The library will be available to all Visual Studio 2008 Standard and above customers.

 

UI 관련 컴포넌트로 CodeJock Xtreme Toolkit BCG의 컴포넌트가 유명했는데, MFC 8.0 버전에서는 BCG의 컴포넌트의 도움을 받아서 업그래이드가 된 것 같습니다. MS에서 광고하기를 Office 2007 스타일의 리본형태의 UI를 지원한다고 하여서 필자는 MS에서 MFC를 업그레이드 한것으로 생각을 했는데, MFC Update Powered By BCGSoft 라니 조금 재미있네요.^^  혹시 MS BCG Soft를 인수한 것일까요?



:

InstDrv - 드라이버 로딩 도구

개발 2008. 1. 30. 18:16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저자 : hanburn

날짜 : 2008-01-30

 

 

드라이버를 개발할 때 필요한 유틸리티 중에 하나가 바로 InstDrv.exe 라는 녀석입니다. 개발된 드라이버를 테스트 해볼 때 INI파일 없이 간단하게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실행해볼수 있도록 해주는 유틸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경로에 전체경로를 적어주고 Install 버튼을 누르면 드라이버가 설치가 되고 Start를 누르면 드라이버가 로딩이 됩니다. (DriverEntry 호출되는 시점이 여기입니다. ^^)

참 편리한 프로그램인데 한가지 불편한 점은 전체경로를 적는 것입니다. 요즘 같은 환경에 누가 전체경로를 타이핑하고 있나~ 라는 생각에 이 프로그램에 파일다이얼로그를 추가해서 마우스 클릭으로 파일을 선택할수 있도록 해보자는 생각으로 아래처럼 만들어 봤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능은 똑같구요 에디트 옆에 버튼을 하나 두어서 파일다이얼로그를 띄어서 드라이버 파일을 선택할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원래 유틸은 파일 크기가 30KB인데 파일다이얼로그와 about 창이 추가되어서 44KB로 크기가 조금 늘었습니다. 이정도야 조금 편리해 지는데 따른 coast 치고는 싼편이죠.. 이것말고도 프로그램 개발하는데 들어간 시간이 있었지만요..

앞으로 파일 전체 경로를 쓰는 번거로움이 조금 사라지면 개발시간은 충분히 보상되리라 생각됩니다. (반나절 정도 걸렸네요 ^^)

 

드라이버 개발시에 유용한 Device Tree라는 도구도 있습니다. 현재 컴퓨터에 로딩되어 있는 드라이버들의 목록을 보여주는 것인데, DDK를 설치하면 그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로 만든 InstDriver.exe를 가지고 드라이버 로딩 테스트를 하니까 위의 Device Tree에서 잘 보입니다.

 

참고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실행시키는 방법을 코드로 작성시에는 SCManager(스컴매니져)를 이용하여 서비스로 드라이버를 실행시켜주는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OpenSCManager(), OpenService(), StartService(), ControlService(), DeleteService() 등의 함수를 사용하였습니다.

 

두개의 파일을 모두 올려봅니다.



:

FireFox에서 않나오던 문제 수정

IT활용 2008. 1. 9. 18:26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InternetExplorer (이하 IE)에서 글을 작성하고 보고 그러다가..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FireFox를 사용하여 이곳을 보니까 화면이 깨지면서 보이지가 않았습니다.  Firefox에는 오류정보를 보는 기능이 있길래 혹시나 하고 무슨 내용이 있나 살펴 보았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처럼 아무런 에러내용도 없는데, 안나오더군요..
이걸 어떻게 찾나? 막막하네.. 화면이 깨지길래.. 힌트는 스킨쪽인거 같은데..
예전에 스킨을 변경하고, adsense를 달면서 HTML을 조금 수정한 부분이 있었는데 혹시 그 부분인가..
어디선가 Firefox는 html 태그를 엄격하게 확인한다는 것을 들었는데..
그래서 제가 수정한 부분을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VS-IDE 환경에서 디버깅은 라인별로 실행해볼수 있어서 디버깅이 편리한데 html은 그럴수가 없으니
디버깅하는데 불편하더군요.. 다른 웹개발자들은 어떻게 디버깅 하는지.. 비법이라도 있는지..

계속 보던차에 의심가는 부분이 눈에 들어 왔습니다.

<!--   <li class="menu"><a href="https://hanburn.tistory.com/">Home</a></li>
<!--   <li class="menu"><a href="https://hanburn.tistory.com/location">Location</a></li>
<!--   <li class="menu"><a href="https://hanburn.tistory.com/tag">Tags</a></li>
<!--   <li class="menu"><a href="https://hanburn.tistory.com/media">Media</a></li>
<!--   <li class="menu"><a href="https://hanburn.tistory.com/guestbook">Guestbook</a></li>
<!--   <li class="menu"><a href="https://hanburn.tistory.com/owner/entry">Admin</a></li>
<!--   <li class="menu"><a href="https://hanburn.tistory.com/owner/entry/post">New Post</a></li>

원래 스킨코드에서 있던 부분을 주석으로 막아 놓는다고 앞에만 <!-- 를 붙여놓았더군요..
IE 에서 수정하고 확인해서 잘 보이길래 예전에 이렇게 엉터리로 수정을 했었는데..
각라인의 뒤에 --> 를 추가해주니까 firefox에서도 잘 보입니다. ㅋㅋ
확실히 좀더 엄격하게 태그를 파싱해서 보여주는 것을 체험하게 되었습니다. 태그가 않맞아도 그냥 보여주는 IE와 태그를 엄격하게 검사하는 Firefox.. 어떤게 더 좋을까요?

IT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라면 firefox처럼 정확한 문법을 지키는게 맞겠구요..
사용자의 편리성을 생각하면 IE처럼 잘못 사용된 태그도 사소한 것이라면 적당히 보여주는 것이 편리하겠지요..





: